wil 3

WIL - 2023.05.02

금주에는 RESTful API와 nodejs의 package.json 파일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최근 개발자들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만들어 왔습니다. 그 중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를 RESTful API라고 합니다. 본글에서는 RESTful API와 그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STful API란? RESTful API는 인터넷을 통해 두 시스템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터페이스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규약으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

WIL 2023.05.01

WIL - 2023.04.20

금주 회고 금주는 알고리즘 주차를 진행하였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기반의 0~1레벨 수준의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하면서 처음에는 많이 어려웠으나 문제를 풀면 풀수록 재미를 느껴서 시간가는줄 모르고 진행했던 것 같습니다. 아쉬웠던 점으로는 이번 알고리즘 풀이에 있어 거의 대부분의 문제를 if문 while문 for문을 사용하여 진행한 점이 조금 아쉬웠습니다. 자료형 또한 거의 대부분의 문제를 숫자, 문자열, 부울, 배열 만 사용했는데, 다음에 알고리즘 무제를 풀게되면 다른 내장함수나, 객체 자료형등도 많이 활용해보면서 풀어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주차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 map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어서 다시한번 map 함수 사용 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map 참고링크 ..

WIL 2023.04.20

WIL - 2023.04.13

금주에는 콜백함수와 HTTP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콜백함수란? 콜백함수란 쉽게 생각하면 함수에 인자값으로 주어지는 함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코드 샘플과 같이 plusNumber라는 함수가 있고 인자값으로 함수를 전달받으면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콜백함수) 형태의 코드가 있습니다. 여기서 인자로 주어지는 함수 func를 콜백함수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plusNumber와 같은 콜백함수를 인자로 받는 함수를 고차함수라고 부릅니다, function plusNumber(num1, num2, func) { let result = num1 + num2; func(result); } function resultFunc(result) { console.log(`결과값은 ${result}입니다.`) }..

WIL 2023.04.14